카테고리 없음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 기준

홍범연의 2022. 12. 10. 14:47
300x250
반응형
 
현재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 기준은 2021년부터 적용되는 것이고, 조만간 일부 조정한 기준이 발효될 것입니다. 재건축 활성화를 위해 평가분야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현재 재건축 대상지는 구조안전성보다는 주거환경의 측면에서 요구가 많은 것입니다. 따라서, 개선 가중치가 반영이 되면 기존에 재건축 추진이 힘들었던 단지들이 혜택을 볼 것입니다.

현지조사시 조사항목으로 3개 구조안전성, 건축마 감및 설비노후도, 주거환경이 있으며, 여기에 비용분석이 들어가서 총 4개 분야에 대해 평가를 하고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 값으로 재건축, 조건부 재건축, 유지 등의 판정 자료로 활용합니다. 내년 1월부터 각각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좀 더 재건축이 용이하도록 하겠다고 국토부에서 발표하였습니다.

1-3. 재건축 안전진단의 성격 및 종류

1-3-1. 재건축 안전진단은 ‘현지조사’와 ‘안전진단’으로 구분하며, ‘안전진단’은 ‘구조안전성 평가 안전진단’과 ‘주거환경중심 평가 안전진단’으로 구분한다.

1-3-2. ‘현지조사’는 정비계획의 입안권자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2조제4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조에 따라 해당 건축물의 구조안전성, 건축마감·설비노후도, 주거환경 적합성을 심사하여 안전진단 실시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1-3-3. ‘안전진단’은 정비계획의 입안권자가 현지조사를 거쳐 ‘안전진단 실시’로 결정한 경우에 안전진단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구조안전성 평가 안전진단의 경우 ‘구조안전성’을 평가하여 ‘유지보수’, ‘조건부 재건축’, ‘재건축’으로 판정하고, ‘주거환경중심 평가 안전진단'의 경우 ‘주거환경’, ‘건축 마감 및 설비노후도’, ‘구조안전성’, 및 ‘비용분석’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여, ‘유지보수’, ‘조건부 재건축’, ‘재건축’으로 판정한다.

1-4-3. 비용분석: 건축물 구조체의 보수·보강비용 및 성능회복비용과 재건축 비용을 LCC(Life Cycle Cost)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편익과 재건축사업시행으로 인한 재산증식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현지조사시 평가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구조안전성 분야입니다.

평가항목
중점평가사항
지반상태
지반침하상태 및 유형
변형상태
건물 기울기 바닥판 변형 (경사변형, 휨변형)
균열상태
균열유형(구조균열, 비구조균열, 지반침하로 인한 균열)
균열상태(형상, 폭, 진행성, 누수)
하중상태
하중상태(고정하중, 활하중, 과하중 여부)
구조체 노후화 상태
철근노출 및 부식상태, 박리/박락상태, 백화, 누수
구조부재의 변경 상태
구조부재의 철거, 변경 및 신설
접합부 상태
접합부 긴결철물 부식 상태, 사춤상태
부착 모르타르 상태
부착 모르타르 탈락 및 사춤상태

다음은 건축마감 및 설비노후도 입니다.

지붕 마감상태
옥상 마감 및 방수 상태/보수의 용이성
외벽 마감상태
외벽 마감 및 방수 상태/보수의 용이성
계단실 마감상태
계단실 마감상태/보수의 용이성
공용창호 상태
공용창호 상대/보수의 용이성
기계설비 시스템의 적정성
난방 방식의 적정성
급수·급탕 방식의 적정성 및 오염방지 성능
기타 오·배수, 도시가스, 환기설비의 적정성
기계 소방설비의 적정성
기계설비 장비 및 배관의 노후도
장비 및 배관의 노후도 및 교체의 용이성
전기·통신설비 시스템의 적정성
수변전 방식 및 용량의 적정성 등
전기·통신 시스템의 효율서와 안전성
전기 소방 설비의 적정성
전기설비 장비 및 배선의 노후도
장비 및 배선의 노후도 및 교체의 용이성

현지조사 세번째 항목인 주거환경 평가분야입니다.

주거환경
주변토지의 이용상황 등에 비교한 주거환경, 주차환경, 일조·소음 등의 주거환경
재난대비
화재시 피해 및 소화용이성(소방차 접근 등)
홍수 대비, 침수 피해 가능성 등 재난환경
도시미관
도시미관 저해정도

이상은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182호, 2020. 12. 30., 일부개정.]에 따른 내용입니다. 이를 가중치를 다음과 같이 조정하고 점수에 따른 재건축 판정도 조정한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